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URL을 입력하면 발생하는 일

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는 순간부터, 실제 웹페이지가 내 화면에 보이기까지는 엄청나게 복잡하고 다양한 과정이 차례로 일어납니다. 이 과정은 브라우저 소프트웨어, 운영체제, 각종 네트워크 하드웨어, 여러 종류의 서버, 그리고 수많은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과 연관되어 있습니다. 먼저 면접에 자주 나오는 내용을 알아보고, OSI 7계층과 같이 생각해보겠습니다.

1. URL 파싱 & 유효성 검증

브라우저는 이를 통해:

2. 브라우저 캐시 확인

3. DNS 조회 (Domain Name System)

4. TCP 3-way Handshake

5. TLS/SSL 핸드셰이크 (HTTPS 사용 시)

6. 방화벽 및 프록시 검증

7. HTTP/S 요청 전송

8. 서버 측 처리

9. 서버 응답 수신

10. 브라우저 렌더링 엔진: 파싱 & 페이지 빌드

HTML 파싱:

CSS 파싱:

자바스크립트 실행:

화면 렌더링 과정:

폰트, 미디어 등

11. 추가 요청: 비동기 및 지연 로딩

12. 사용자 상호작용 & 세션 관리


13. 캐싱 & 영구 스토리지

14. 오류 처리

전체 순서 요약표

단계 설명
URL 파싱 입력값을 프로토콜, 도메인, 포트, 경로, 쿼리, 프래그먼트로 분해
캐시 확인 DNS/HTTP 응답이 캐시에 있으면 빠르게 제공
DNS 조회 도메인을 여러 단계 캐시/리졸버 통해 IP로 변환
TCP 핸드셰이크 3 way handshake로 신뢰성 연결 설립
TLS/SSL 핸드셰이크 HTTPS 사용할 경우 암호화/인증 등 보안 연결 형성
방화벽/프록시 확인 보안 정책 검증 및 트래픽 차단/허용
HTTP 요청 브라우저가 리소스 요청 (헤더, 쿠키 등 첨부)
서버 처리 웹/백엔드 서버가 요청을 받아 처리, 응답 빌드
서버 응답 헤더/본문 포함 응답 반환
응답 수신/파싱 (암호화/decrypt 된) 데이터 수신, 헤더 분석
렌더링 DOM/CSSOM 파싱, JS 실행, 레이아웃 연산, 페인트 단계
동적/비동기 로딩 JS가 비동기로 추가로 네트워크 요청 및 상호작용
캐싱/저장소 응답/세션/설정값을 캐시/스토리지 활용

결론

URL을 입력하는 순간부터 웹페이지가 표시될 때까지, 브라우저는 내부 캐시, DNS, TCP/IP, (필요시) TLS/SSL, HTTP/HTTPS, 각종 렌더링 엔진 등 다양한 SW/HW, 프로토콜을 거쳐 데이터 흐름을 관리합니다.
이 모든 과정이 수백~수천 밀리초 내에 진행되며, 각 단계마다 세부 작업, 최적화, 오류처리가 꼼꼼하게 작동합니다.

추가: OSI 7계층과 하드웨어 관점의 상세 동작

저번 포스트에 올린 OSI 7계층과 이번 포스트를 엮어서 생각해보겠습니다.

1. OSI 7계층별 주요 기능과 하드웨어 연계

OSI 계층 계층명(한글) 대표 기능 및 역할 주로 사용하는 하드웨어/소프트웨어
7 응용 계층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(웹브라우저, 서버 소프트웨어 등) 웹 브라우저, 서버 애플리케이션
6 표현 계층 데이터 포맷 변환, 암호화/복호화, 압축 OS, 암호화 모듈, SSL/TLS 라이브러리
5 세션 계층 세션 관리, 연결 유지, 동기화 OS 세션 관리, 서버 세션 모듈
4 전송 계층 신뢰성 제공, TCP/UDP, 3-way handshake, 오류/흐름 제어 OS 네트워크 스택, TCP/UDP 구현
3 네트워크 계층 논리 주소(IP), 라우팅, 패킷 전달 라우터, OS의 IP 계층
2 데이터링크 계층 프레임화, MAC주소, 에러 검출/수정 NIC, 스위치, 브리지
1 물리 계층 신호(비트) 전송, 전송매체 선택, 전기/광/무선 신호 변환 NIC, 케이블, 허브, 리피터, 무선 모듈

2. 웹 브라우저가 URL 입력 이후 OSI 계층별 세부 과정 + 하드웨어 흐름

1계층: 물리 계층 (Physical Layer)

2계층: 데이터링크 계층 (Data Link Layer)

3계층: 네트워크 계층 (Network Layer)

4계층: 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

5계층: 세션 계층 (Session Layer)

6계층: 표현 계층 (Presentation Layer)

7계층: 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

3. OSI 계층 & 하드웨어 관점 시나리오 요약

  1. 웹브라우저(7계층)가 URL을 파싱하여 HTTP(S) 요청 생성(6/5/4계층)
  2. OS 네트워크 스택이 데이터→TCP/UDP→IP→Ethernet 프레임으로 감싸 처리(4·3·2계층)
  3. NIC가 데이터를 신호로 변환, 케이블/무선으로 송출(1계층)
  4. 스위치/허브/라우터가 각각 MAC/IP주소에 따라 데이터 경로 결정(2·3계층)
  5. 서버까지 도달하면 역순 계층으로 데이터 해제/처리

4. 전체 계층별 하드웨어 연계 표

계층 주요 역할 하드웨어 예시(OSI 분류)
7 사용자 앱/서비스 PC, 서버, 모바일 기기
6 포맷/압축/암호화 CPU, 암호화 가속 모듈
5 세션 관리 OS, 인증 장비/보안토큰
4 연결/오류/흐름 제어 OS, TCP 오프로드 NIC
3 라우팅/IP주소 관리 라우터, L3 스위치
2 프레임/MAC언급 NIC, 스위치, 브리지
1 신호/전송매체 NIC, 케이블, 무선 모듈, 허브

5. 실무 예시

정리:
OSI 7계층 모델은 각 계층별로 명확한 역할과, 그에 따른 실제 하드웨어(케이블, NIC, 스위치, 라우터, 서버, 응용프로그램 등)가 협력하여 복잡한 인터넷 통신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게 만듭니다.